WO2015083924A1 - Movable lifting device - Google Patents

Movable lif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3924A1
WO2015083924A1 PCT/KR2014/008793 KR2014008793W WO2015083924A1 WO 2015083924 A1 WO2015083924 A1 WO 2015083924A1 KR 2014008793 W KR2014008793 W KR 2014008793W WO 2015083924 A1 WO2015083924 A1 WO 20150839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bed
driving
bas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8793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고철웅
전경진
홍재수
김충연
최형인
변태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3014984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09083B1/en
Priority claimed from KR201301499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94652B1/en
Priority claimed from KR201301498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07963B1/en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CN201480066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828778B/en
Publication of WO20150839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392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7Supported platforms, frames or sheets for patient in ly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5Safety means with electronic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7Safety means for adjustable b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76Means for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lifting device having a travel assistance wheel. Disclosed is a movable lifting device comprising: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a lifting unit comprising a bed part on which a user or an object to be transferred is seated, and an ascending and descending frame which extends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base, which supports the bed part such that the bed part is positioned at a certain height or higher from the floor, and which selectively adjusts the height of the bed part; and a travel assistance wheel which drives in contact with the floor on the base, the movable lif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ravel assistance unit which is locat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and assists the travel of the lifting unit.

Description

이동식 리프팅장치Movable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일측에 사용자가 그립이 가능한 그립부가 형성된 몸체, 약품용액이 유동하는 용액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 외부로 연장되어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니들 및 상기 몸체상에 배치되며 길게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삽입니본 발명은 이동식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중심상에 위치하여 주행을 보조하는 별도의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한 이동식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body is formed with a grip portion that allows the user to grip, the fluid flow path for the drug solution flows, the e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th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lif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lif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driving wheel located on a center of gravity to assist driving. .
최근,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요양보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령 친화용품의 연구개발에 많은 관심이 보여지고 있다.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lderly-friendly articles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reduce the economic burden due to nursing care protection according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일반적으로 고령자의 요양보호는 재택 또는 노인전문 요양시설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상행활 수행능력에 있어서 식사, 목욕, 배변 및 이송과 이동이 주요 행위로 구분된다,In general, care for the elderly is carried out at home or in an aged specialty care facility. Meal, bathing, bowel movements, and transportation and movement are the main activities in the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특히, 스스로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의 경우 주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래서 이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elderly people who are uncomfortable with their own needs desperately need help, so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최근 피사용자를 이송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베드 또는 이송장치에 관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제품 개발은 미흡하다.Based on such an environment, various products related to various types of beds or transfer devices for transferring a user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but product development through systematic research is insufficient.
특히, 피사용자를 베드에 안착시킨 후 사용자가 직접 이송할 대 사용되는 외력을 줄이기 위해서 별도의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캐리어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왔다.In particular, a carrier having a separate driving assistance unit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order to reduce the external force used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bed and then directly transferred by the user.
그러나, 종래와 같은 장치는 사용자가 피간호인이 탑승한 베드의 이동 시 주행을 보조하기는 하지만, 주행보조유닛의 주행 시 바닥과의 접지에 따라 올바르게 힘이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사진 길이나,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길을 주행하는 경우 주행보조유닛이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으며 구동바퀴의 접지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assists the driving during the movement of the bed occupied by the caregiver, but the force is not correct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ground with the ground dur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assistance unit. In particular, the driving assistance unit does not operate correctly when driving on an inclined length or an uneven roa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wheel decreases.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수동으로 작동해야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와 달리, 별도의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하여 리프팅유닛의 이동을 보조할 뿐만 아니라, 리프팅유닛에 의한 하중의 무게중심상에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하여 바닥과의 접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무게중심상에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한 이동식 리프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obile lifting device, unlike the conventional mobile lifting device that must be operated manually, provided with a separate driving wheel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as well as lifting It is to provide a mobile lifting device having a driving wheel on the center of gravity that can be provided with a driving wheel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oad by the unit to increase the traction with the floor.
그리고 본 발명은 별도의 회전스톱퍼를 이용하여 리프팅유닛의 주행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주행보조바퀴가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한 회전력 조절이 가능한 무게중심상에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한 이동식 리프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eparate rotary stopper to move the driving wheels by the user's choice during the driving of the lifting unit by moving the wheel with a driving wheel on the center of gravity to adjust the rotational force that the user can use more safely In providing a lifting dev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피사용자 또는 이송대상물이 안착되는 베드부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부가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팅유닛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바닥과 접촉하여 구동하는 주행보조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유닛의 무게중심상에 위치하여 리프팅유닛의 주행을 보조하는 주행보조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the bed or the user to be transported or the object to be seated is formed ext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base and the bed is located above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It includes a lifting unit including a lifting frame for supporting and selectiv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d portion and a driving auxiliary wheel for driving in contact with the floor on the base, the driving unit is locat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It includes a driving assistance unit for assisting.
또한, 상기 승하강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와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드부가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수직링크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프레임이 회전하여 상기 베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frame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one side is coupled to rotate with the rotation axis and the base is eccentric with the base and extends in the upper direction on the rotary link the bed is a certain height or more. It includes a vertical link to support the position and optionally the lifting frame can be rotat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bed portion.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주행보조유닛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관통된 상기 주행보조유닛의 상부를 감싸며 간섭을 방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브라켓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회전하도록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driving aid unit penetrates up and down, and further includes a bracket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aid unit to prevent interference, the rotary link does not cause interference with the bracket A portion may be bent to rotate.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의 위치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med along the position of the same radius around the rotation axis on the upper surface an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link coupled with the guide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sliding portion moving along the guide portion without being separated Can be.
또한, 상기 베이스상에 구비되며, 상기 리프팅유닛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에서 전달된 전기적신호 의해 상기 리프팅유닛의 무게중심을 측정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를 상기 무게중심상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nsing unit provided on the base, and detects the load applied to the lifting unit and transmitted as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nsing unit by measu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trol unit including a first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gravity.
또한, 상기 제1감지부는 복수 개의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상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etection un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spaced apart on the base.
또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베이스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 및 상기 주행보조바퀴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assistance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vable guide coupled to the driving guide wheel and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base and selectively sliding along the sliding guid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have.
또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제1감지부에서 감지된 리프팅유닛의 전체 하중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회전력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assistance unit may selectively adjus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in response to the total load of the lifting unit detected by the first sensing unit.
또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주행보조바퀴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assistance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ase elastically supports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또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별도의 회전스톱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assistanc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rotation stopper for selective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또한, 상기 승하강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하방향에 따른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승하강프레임과 연동되어 상기 승하강프레임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주행보조바퀴가 함께 회전하여 주행방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frame has a rotatio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as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axis, the driving assistance unit is linked with the elevating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state of the elevating frame The driving auxiliary wheel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to adjust the driving direction.
또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베이스 하부에서 상기 승하강프레임의 회전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과 직접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assistance unit may be position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elevating fram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elevating frame to be rotatable simultaneously.
또한, 일측이 상기 승하강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드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며, 내부에 자기유변유체를 포함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쇠계수가 조절되는 완충유닛 및 상기 베드부의 진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2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fram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ed portion, to attenuat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ed portion, the damping coefficient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therei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rol unit for sensing the vibr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bed, and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shock absorbing unit in response to the sensed intensity of the vibration.
또한, 상기 제2제어유닛은 상기 베드부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의 진동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 세기에 대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is provided on the bed portion to sense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bed portion,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vibration intensity and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It may include a second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buffer uni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여기서, 상기 제2감지부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베드부의 전방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드부에서 감지되는 가속도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sensing unit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d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ed unit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bed unit.
또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에서 감지된 진동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may reduce the current applied to the buffer unit as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increases.
또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에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영역 내에서는 상기 완충유닛에 동일한 세기의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른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전류를 인가받아 감쇠계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divide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in the second sensing unit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o provide a current having the same intensity to the buffer unit in each region, the buffer unit is the second The attenuation coefficient may be adjusted by receiving a current having a different intensity from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by the detector.
또한, 상기 완충유닛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자기유변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 및 길게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실린더 일측에서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함께 유동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을 구비하여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unit has a predetermined length, a cylinder filled with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therein, a piston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cylinder, and is formed long and a part is inserted from one side of the cylinder and connected to the piston And a piston unit including a shaft that flows together and a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coils inside the piston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by an applied electric power.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ay vary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suppli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종래의 리프팅장치와 달리 별도의 주행보조바퀴을 구비하여 이동 시 주행을 보조하여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을 감소시켜줌과 동시에, 리프팅장치의 무게중심상에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하여 바닥과의 접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unlike conventional lifting devices, separate driving wheels are provided to assist driving when moving to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wheels are provided on the weight center of the lifting device to maintain the grounding force with the flo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ncreased.
둘째, 리프팅장치의 하부에서 주행보조바퀴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하중센서를 구비하여 리프팅장치 전체의 무게중심상에 주행보조바퀴가 위치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이송대상물의 유무에 상관없이 능동적으로 주행보조바퀴의 접지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in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device, and by providing a separate load sensor to adjust the driving auxiliary wheel to be locat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lifting device, active regardless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rac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셋째, 주행보조바퀴는 별도의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주행보조바퀴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이동식 리프팅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바닥과의 접지력증가 및 바닥상태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driving auxiliary wheel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hock absorbing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driving auxiliary whee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traction with the floor and the impact of the floor condition when the mobile lifting device moves.
넷째, 주행보조유닛에 별도의 회전스톱퍼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주행보조바퀴의 회전상태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주행을 결정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by providing a separate rotary stopper to the driving auxiliary un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ively stop the rota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the user can determine the running of the mobile lifting device in a desired stat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t work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가 승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ed part is elevated in the movable lifting device of FIG. 1; FIG.
도 3은 도 2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portion is lowered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 4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이스 및 주행보조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and the driving assistance unit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 5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does not move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 6은 도 5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의 위치가 좌측이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moved to the left side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 7은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승하강프레임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frame rotates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 8은 도 7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A의 확대된 도면;8 is an enlarged view of A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7;
도 9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가 바닥과 탄성 접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riving auxiliary wheel elastically grounded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이스 및 주행보조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and the driving assistance unit in the mobil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auxiliary wheel rotates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 12는 도 10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가 지면과 탄성 접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riving auxiliary wheel elastically grounded with the ground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lifting in the movable lifting device of FIG.
도 15는 도 14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ed portion descends in the movable lifting apparatus of FIG. 14; FIG.
도 16은 도 13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완충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1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unit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 17은 도 13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에 이송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17 is a view showing that the vibration occurs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ure 13 in the absence of the transfer object in the bed portion;
도 18은 도 17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에 이송대상물이 놓여진 상태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18 is a view showing that vibration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object is placed on the bed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 19는 도 13의 리프팅장치에서 제2감지부에 작용하는 진동의 세기에 의해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감쇠계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ttenuation coefficie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acting on the second sensing unit in the lifting device of FIG.
도 20은 도 13의 리프팅장치에서 완충유닛의 변형된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및2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configu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unit in the lifting device of FIG. And
도 21은 도 20의 완충유닛에서 피스톤부재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ston member moves in the shock absorbing unit of FI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무게중심상에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한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Exemplary embodiments of a mobile lifting apparatus having a driving wheel on the center of gr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but to help a more clear understanding through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한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a configuration of a mobile lifting device having a driving assistance whe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가 승하강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portion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이스 및 주행보조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portion is lowered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2,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and the driving assistance unit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는 크게 리프팅유닛(100), 주행보조유닛(200) 및 상기 제1제어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a mobil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unit 100, a driving assistance unit 200, and the first control unit 300.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일반적인 이동식 리프팅베드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베이스(110), 베드부(130) 및 승하강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fting unit 100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movable lifting bed and includes a base 110, a bed part 130, and a lifting frame 120.
상기 베이스(110)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전체를 지지하며 복수 개의 이동바퀴(112)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서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The base 110 supports the entire lifting devic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112 to allow the lifting unit 100 to move by an external forc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베드부(130) 및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하부에서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을 지지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이 상기 베이스(1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bas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elevating frame 120 at the bottom of the bed portion 130 and the elevating frame 120, the elevating frame 120 is the base Is rotatably coupled with 110.
또한, 상기 베이스(110)는 후술하는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연통홈이 형성되고 관통된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의 상부를 감싸며 간섭을 방지하는 브라켓(1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base 110 has a communica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up and down and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traveling assistance unit 200 through the bracket 114 to prevent interference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상기 베이스(1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승하강프레임(120)과 함께 후술한다.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ase 110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elevating frame 120.
상기 베드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피사용자가 안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침대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드부(130)는 특별히 피사용자가 안착되는 침대형상뿐만 아니라, 이송대상물을 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bed 130 may be disposed above the base 110 to allow the user to be seated and have a general bed shape. Here, the bed 130 may be configured to transport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as well as the shape of the bed specifically sea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드부(130)는 피사용자가 안착되는 침대형태로 구성되며 회전을 통해서 부분적인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리클라이닝 베드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d portion 1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ed on which the user is seated and consists of a reclining bed that can be partially adjusted inclination angle through rotation.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되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부(130)가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lifting frame 120 is coupled to the base 1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upper direction and supports the bed portion 130 is located above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Here, the lifting frame 12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bed 130.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에 의해 상기 베드부(130)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일측이 상기 베드부(13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에 따른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120)과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가이드(126)가 구비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bed 130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elevating frame 120, the elevating frame 120 is coupled to the bed portion 130, one side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a portion along the lifting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uide 126 coupl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이와 같이 상기 결합가이드(126)는 상기 베드부(130)가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에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상하방향을 따라 승하강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베드부(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guide 126 is configured to allow the bed 130 to be coupled to the elevating frame 120 and to elevate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elevating frame 120.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130.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130)가 승하강이 되도록 구성된다.The lifting unit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ed 130 is raised and lowered as shown in FIG. 2.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하는 일반적인 베드의 형태로 구성되었지만, 이와 달리 상기 리프팅유닛(100)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트레이나 캐리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fting unit 10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general bed that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ut alternatively, the general unit or the carrier may be used as well as the lifting unit 10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크게 회전링크(122) 및 수직링크(124)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fram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ncludes a rotary link 122 and the vertical link 124 large.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110)와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링크(122)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rotary link 122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and is coupled to rotate on one side eccentrically with the base 110 with a rotation axis. That is, the rotary link 122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having a rotation shaft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그리고 타측부는 후술하는 상기 수직링크(124)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수직링크(124)를 지지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직링크(124) 및 상기 베드부(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other side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vertical link 124 to be described later to support the vertical link 124 and selectively rotat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link 124 and the bed 130. .
여기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상기 브라켓(114)에 의해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브라켓(114)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Here, as shown in the rotary link 122 is partially bent upward by the above-described bracket 114 is configur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racket 114 when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axis.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브라켓(114)의 상부면에 회전축을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114)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ry link 122 has a rotation ax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14 and is rotatably coupled and bent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racket 114.
상기 수직링크(124)는 상기 회전링크(122)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드부(130)가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링크(124)는 상기 회전링크(122)의 타측 끝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The vertical link 124 extends upwardly on the rotary link 122 to support the bed 130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Specifically, the vertical link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link 122 is formed to extend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base 1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링크(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가이드(126)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가이드(126)가 상기 베드부(130)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결합가이드(126)를 승하강시켜 상기 베드부(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link 124 includes the coupling guide 126 as described above, and wins the coupling guide 126 as the coupling guide 126 is coupled to the bed portion 130. Lowering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ed portion 130.
이와 같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상기 회전링크(122) 및 상기 수직링크(124)를 포함하며, 회전링크의 회전을 통해 상기 베드부(130)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가이드(126)를 승강시켜 상기 베드부(13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frame 120 includes the rotary link 122 and the vertical link 124,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bed 130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ry link and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guide ( By elevating 126, the bed 130 may be elevated.
이와 같이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상에 대상물을 안착시켜 이송시키며 선택적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s the lifting unit 10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may be trans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bed 130 and may be selectively adjusted.
한편,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리프팅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32)가 상기 결합가이드(126)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32)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132)는 사각고리 형상을 가지며 일부가 상기 결합가이드(126)에 결합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unit 100 includes a handle 132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user to move the lifting unit 100.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132 is coupled to the coupling guide 126 as shown. Here, the handle 132 ma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forms,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132 has a square ring shape and a po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guide 126 is configured.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베이스(110)상에서 바닥과 접촉하여 구동하는 주행보조바퀴(210)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상에 위치하여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주행을 보조한다.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includes a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that is driven in contact with the floor on the base 110 and is position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100 to travel of the lifting unit 100. To assist.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주행보조바퀴(210) 및 상기 구동모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베이스(110)하부에 결합되어 바닥과 접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20)는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에 연결되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In detail,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includes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and the driving motor 220, and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se 110 and grounded. It is configured to be. The driving motor 2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즉,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복수 개의 상기 이동바퀴(112) 이외에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220)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구동모터(220)에 의해서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터(220)는 회전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moving wheels 112 to rotate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as the driving motor 220 operates. Here,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220, the drive motor 22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rotational forc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와 상기 구동모터(220)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별도의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and the driving motor 2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and the driving motor 22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include a separate power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o transmit power. It may be.
그리고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별도의 클러치(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바닥에 접지해 있지만 사용자가 동작을 원하지 않는 경우 무부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바닥에 접지되어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이동할 때 함께 회전은 하지만, 이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구동모터(220)에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lutch (not shown), so that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may be grounded on the floor, but may be configured to allow no load rotation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operate the wheel. . That is,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is grounded on the floor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lifting unit 100 moves, but is not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driving motor 220, thereby driving the motor 220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한편,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가이드(230) 및 이동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sliding guide 230 and a moving member 24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100.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는 상기 베이스(110)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240)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Specifically, the sliding guide 230 is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base 110 to support the movable member 240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는 상기 베이스(110)상에 형성된 상기 브라켓(114)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연동된 상기 연통홈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guide 23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114 formed on the base 110, so that a part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can be exposed to the communication groove interlocked up and down. It is composed.
이때, 상기 브라켓(114)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bracket 114 may be formed lo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uide 230, otherwis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는 길게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브라켓(114)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샤프트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liding guide 230 is formed long and both end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shaft that is supported by the side of the bracket 114 and selectively rotated by receiving power. The sliding guide 230 has a thread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40)는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를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위치를 조절한다.The moving member 240 is coupled to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and selectively slides along the sliding guide 23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재(240)는 상술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에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와의 접촉면상에 상기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조절된다.Specifically, the movable member 240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above-mentioned sliding guide 230 and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screw threa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liding guide 230 is positio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liding guide 230 Is adjusted.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40)의 하부에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240)의 위치조절에 따라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위치가 조절된다.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24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according to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moving member 240.
이에 따라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 및 상기 이동부재(2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상에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the sliding guide 230 and the movable member 240 to adjust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100. have.
이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상에 위치함에 따라 하중에 의해 바닥과의 접지력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바닥이 고르지 못하게 형성된 경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바닥과의 접촉이 잘 안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As such, as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position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100, the grounding force with the floor is increased by the load. In particular, when the floor is formed unevenly, since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not in contact with the floor, it is possible to stably assist the driving of the lifting unit 100 by preventing it.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상에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의 일부가 관통하며 이를 보하기 위한 상기 브라켓(114)이 형성되는 것은, 리프팅장치의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해 상기 베이스(110)가 바닥과 가깝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penetrates and the bracket 114 is formed on the base 110 so as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device. 110 may be formed close to the floor, and the size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may be selectively adjus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이에 따라 리프팅장치 전체의 무게중심이 하부로 이동하여 리프팅장치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lifting device can be moved downward to prevent overturning of the lifting device.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132)는 별도의 조작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하며,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서 조작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회전상태를 정지시키는 회전스톱퍼(미도시)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le 132 further includes a separate operation means (not shown), and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means and optionally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otation stopper (not shown) to stop the rotation state of the).
그래서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주행 중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회전스톱퍼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팅유닛(100)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손잡이(132)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회전스톱퍼를 더 구비하여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주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stably stop the lifting unit 100 by driving the rotary stopper through a separate operation means (not shown) while driving the lifting unit 100. Here, the operation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handle 132, it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rotation stopper in this way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ring the running of the lifting unit (100).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성은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이 브레이크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조작수단을 통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회전상태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figuration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may be applied in various configurations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general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rake to control the rotation state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by the operation through the operation means. Configured to stop.
상기 제1제어유닛(300)은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을 감지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써, 제1감지부(310) 및 제1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control unit 30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by sens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100, the first detecting unit 310 and the first control unit (not show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제1감지부(310)는 상기 베이스(110)상에 구비되며 상기 리프팅유닛(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로 전달한다.The first detecting unit 310 is provided on the base 110 and detects the load applied by the lifting unit 100 and transmits the load as an electrical signal.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감지부(310)는 일반적인 하중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110)상에 이격되어 배치된다.In detail, the first detection unit 310 may be configured as a general load sensor,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1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감지부(310)는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이동바퀴(112) 사이에 구비되어 하중에 의해 상기 이동바퀴(112)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리프팅유닛(100) 전체 하중의 무게중심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unit 310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110 and the movable wheel 112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10 and applied to the movable wheel 112 by a load.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otal load of the lifting unit 100 by sensing the losing pressure.
그리고 각각의 상기 제1감지부(310)에서는 감지된 압력을 전기적신호러 변화하여 상기 제1제어부로 전달한다.Each of the first sensing units 310 transmits the sensed pressure to an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control unit.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310)에서 전달된 전기적신호에 의해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을 측정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무게중심상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ler measur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100 by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nsing unit 310 and controls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to be positioned on the center of gravity.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1감지부(310) 각각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을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무게중심상에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부재(240)를 조절한다.In detail, the first control unit detects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units 310 and deriv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100 correspondingly. Then, the moving member 240 is adjusted so that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positioned on the derived weight center.
이와 같이 상기 제1제어유닛(300)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 안착된 이송대상물 또는 환자의 하중이나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무게중심상에 위치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와 바닥의 접지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As the first control unit 30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load or the position of the object or the patient seated on the bed 130 is changed,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positioned on the center of gravity correspondingly. By controlling so as to maintain the trac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and the floor.
한편,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전체하중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회전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in response to the total load of the lifting unit 100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ng unit 310.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베드부(130)상에 이송대상물 또는 환자가 안착된 경우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전체 하중이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control unit increases the total load of the lifting unit 100 when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or the patient is seated on the bed unit 130, and thus the driving auxiliary wheel ( Control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210.
이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하중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회전력을 제어한다.Accordingly, the first control unit actively control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n response to the load of the lifting unit 1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는, 상기 제1제어유닛(300)에 의해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상에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배치하여 리프팅장치의 이동 시 효과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에 의한 보조를 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vabl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assisting wheel 210 is dispos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100 by the first control unit 300 to effectively move the lifting device when the lifting device is moved. Can be assisted by the auxiliary wheel (210).
다음으로 도 5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이동위치가 무게중심상으로 변화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osi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changes to the center of gravit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의 위치가 좌측이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does not move in the mobile lifting apparatus of FIG. 1,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moves to the left side in the mobile lifting apparatus of FIG. 5. to be.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베이스(110)에 형성된 상기 브라켓(114)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Referring to the figure shown,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supported by the sliding guide 230 in the bracket 114 formed on the base 110.
여기서 상기 베드부(130)상에 이송대상물 또는 환자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리프팅유닛(100) 전체의 하중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이 상기 베이스(110)상에서 좌측으로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가 변화함과 동시에 무게중심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Here, when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or the patient is seated on the bed 130, the load of the entire lifting unit 100 is increased. At this time, since the lifting frame 120 is eccentric to the left on the base 110, the weight of the lifting unit 100 changes and the center of gravity moves to the left.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감지부(310)는 복수 개의 상기 제1감지부(310)를 이용하여 해당 지점에서 작용하는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이를 통해서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을 도출하여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를 회전시킨다.In this case, the first detection unit 310 detects the weight acting at the corresponding point by using the plurality of first detection units 310, and the first control unit through this weight of the lifting unit 100 Deriving a center to rotate the sliding guide 230.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2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무게중심상에 위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moving member 24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uide 230 as shown in Figure 6 so that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located on the center of gravity.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30)는 별도의 회전모터(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liding guide 230 is connected to a separate rotary motor (not shown), and the rotary motor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rotate by the first control unit.
이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상에 위치함에 따라 바닥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As such,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may be stably in contact with the floor as it is position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100.
다음으로 도 7및 도 8을 참조하여 별도의 상기 가이드부(116) 및 상기 슬라이딩부(122a)를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이 회전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guide frame 116 and the sliding part 122a are provided to look at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frame 120 rotates.
도 7은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승하강프레임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A의 확대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frame is rotated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A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110)상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별도의 가이드부(116) 및 슬라이딩부(122a)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ifting frame 120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n the base 110 further includes a separate guide part 116 and a sliding part 122a for stable rotation. do.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의 위치를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링크(122)와 상기 수직링크(124)가 결합되는 지점의 하부에 함몰 형성된다.The guide portion 116 is formed along the position of the same radius arou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rotary link 1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part 116 is recessed below the point where the rotary link 122 and the vertical link 124 are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이때,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원 형태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116 has the same radius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즉,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회전링크(122)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반경 이내에서 동일한 반경을 가지도로 형성된다.That is, the guide part 116 is formed to have the same radius within the radius that the rotary link 122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상기 회전링크(1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16)와 결합되며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116)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portion 122a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link 122 is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116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116 without being separated.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상기 가이드부(116)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 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과 상기 회전링크(122)와의 마찰을 감소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part 122a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part 116 and not only supports to rotate stably when the rotary link 122 rotates, but als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And friction with the rotary link 122 is reduc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상기 회전링크(122)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6)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122a)의 일부가 함몰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116)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부(116)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ing portion 122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link 122 to face the guide portion 116, and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liding portion 122a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116 is configured to slide along the guide portion 116 when the rotary link 122 rotates.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롤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16)와 상기 슬라이딩부(122a)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링크(122)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스페이서의 역할도 함께 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liding part 122a is formed in a roller shape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guide part 116 and the sliding part 122a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ry link 122 and the base 110. It also plays a role of a spacer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does not contact.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2a)와 상기 가이드부(116)가 각각 구비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하중도 함께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sliding part 122a and the guide part 116 are provided, the lifting frame 120 can be stably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and the lifting frame 120 is shown. ) Can also support the load.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바닥에 탄성접지 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 9,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looks at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ground on the floor.
도 9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바닥과 탄성 접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elastically grounded with the floor in the movable lifting device of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에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베이스(110)가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바닥과 탄성접지한다. As shown in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base 110 to elastically ground with the floor.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별도의 지지자켓(21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이동부재(24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재(240)의 하측 끝단부에 삽입홈(242)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242) 내부에 상기 지지자켓(212)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supported by a separate support jacket 212 and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240. Specifically, the insertion groove 24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member 240, a portion of the support jacket 2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42 is coupled.
그리고 상기 삽입홈(242) 내부에 완충부재(244)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재(244)에 의해 지지자켓(212)이 탄성을 가지며 지지된다..A buffer member 244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242, and the support jacket 21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uffer member 244.
이에 따라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탄성가압을 받으며 바닥과 안정적으로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완충부재(244)에 의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베드유닛(3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receives elastic pressure and stably contacts the floor, and at the same time, the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by the shock absorbing member 244 is transmitted to the bed unit 300.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244) 및 삽임홈(242)의 구성을 통해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탄성지지 하였지만 유압댐퍼, 공압댐퍼, 스프링 등을 적용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탄성지지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으로부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buffer member 244 and the insertion groove 242,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is applied by applying a hydraulic damper, a pneumatic damper, a spring, and the like. It can be applied to the elastic suppor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floor through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may be buffer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 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a mobil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이스 및 주행보조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and the driving aid unit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wheel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ure 10 rotates;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리프팅유닛(100), 주행보조유닛(200) 및 상기 제1제어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mobil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unit 100, a driving assistance unit 200, and the first control unit 300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configured by.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과 함께 연동되어 회전 하도록 구성된다.The basic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is configur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lifting frame 120.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110)상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elevating fram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otatably coupled around the rotation axis on the base 110.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상기 베드부(1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110)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evating frame 120 may selectiv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ed unit 130 as it supports the bed unit 130 and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in the base 110.
한편,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에 의해 상기 베드부(130)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은 일측이 상기 베드부(13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에 따른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120)과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가이드(126)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bed 130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elevating frame 120, the elevating frame 120 is coupled to the bed portion 130, one side up and down It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a portion along the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uide 126 coupled to the elevating frame 120 and the elevating.
이와 같이 상기 결합가이드(126)는 상기 베드부(130)가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에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상하방향을 따라 승하강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베드부(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guide 126 is configured to allow the bed 130 to be coupled to the elevating frame 120 and to elevate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elevating frame 120.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130.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130)가 승하강이 되도록 구성된다.The lifting unit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ed 130 is raised and lowered as shown in FIG. 2.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구체적인 구성 역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링크(122) 및 수직링크(124)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frame 1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rotary link 122 and the vertical link 124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상기 브라켓(114)에 의해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브라켓(114)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Here, as shown in the rotary link 122 is partially bent upward by the above-described bracket 114 is configur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racket 114 when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axis.
이와 같이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상에 대상물을 안착시켜 이송시키며 선택적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s the lifting unit 10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may be trans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bed 130 and may be selectively adjusted.
한편,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베이스(110)상에서 바닥과 접촉하여 구동하며 주행을 보조하는 주행보조바퀴(21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승하강프레임(120)과 연동되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회전상태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주행방향이 조절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includes a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for driving and contacting the floor on the base 110 to assist driving,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the elevating frame 120 ) And the driving direction is adjusted by rotating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state of the elevating frame (120).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이 회전하며 베드부(130)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주행방향이 변화하여 주행을 보조한다. Accordingly, when the elevating frame 120 is rotated and the position of the bed 130 is changed, the driving auxiliary wheels 210 rotate together in response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s 210. Change to assist in driving.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주행보조바퀴(210) 및 상기 구동모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베이스(110)하부에 결합되어 바닥과 접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20)는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에 연결되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구동시킨다.In detail,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includes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and the driving motor 220, and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se 110 and grounded. It is configured to be. 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2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to drive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베이스(110) 하부에서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링크(122)와 직접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link 122 under the base 110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ry link 122 to rotate simultaneously.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는 주행보조바퀴(210)의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회전링크(122)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브라켓(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110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a por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to protrude upward, and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and the rotary link 12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racket 114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가 상기 브라켓(114)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브라켓(114)의 상면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브라켓(114)의 하부에서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브라켓(114)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링크(122)와 직접 결합된다.In this manner, the rotary link 1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14 about the rotating shaft in the state in which the base 110 includes the bracket 114, and the driving assistance unit ( 200 has the same axis of rotation at the bottom of the bracket 114 and is directly coupled to the rotary link 122 through the bracket 114.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114)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링크(122)와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하 연통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Accordingly, the rotary link 122 and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are coupl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bracket 114 so as to be rotated at the same tim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상기 이동바퀴(11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베이스(110)를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114)에 의해 상부가 감싸지도록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has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movement wheel 112, and a portion thereof penetrates through the base 110, and by the bracket 114.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be wrapped.
여기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브라켓(114)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서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rotary link 122 is formed to be bent in the upper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racket 114,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is configured to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브라켓(114)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회전링크(122)가 상기 베이스(110)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114)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길이방향의 일부가 상기 브라켓(114)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link 1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14, but unlike the rotary link 1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the bracket A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bent upwar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racket 114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114 does not occur.
이와 같이 상기 회전링크(122)와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상기 브라켓(114)을 관통하여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직접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 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주행방향도 함께 회전하여 주행방향이 조절된다.As such, the rotary link 122 and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have the same rotation axis through the bracket 114 and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otary link 122 can rotate at the same time. Correspondingly,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also rotated to adjust the driving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가 구성됨에 따라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의 회전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주행방향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베드부(130)의 방향전환 시에도 지속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이용하여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As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he lifting frame 120 does not cause interference with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and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corresponds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lifting frame 120. By rotating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ven when the direction of the bed unit 130 can be continuously assisted by using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바닥에 탄성접지 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 12,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looks at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ground on the floor.
도 12는 도 10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가 지면과 탄성 접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riving assist wheel is elastically grounded with the ground in the mobile lifting apparatus of FIG. 10.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에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베이스(110)가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바닥과 탄성접지한다. As shown in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base 110 to elastically ground with the floor.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별도의 지지자켓(212)에 의해 지지되며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이동부재(240)에 결합되지 않고, 상기 회전링크(122)의 일측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링크(122)의 일측 하부에 삽입홈(122a)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122a) 내부에 상기 지지자켓(212)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is supported by a separate support jacket 212 and is not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240,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ry link 122. do. Specifically, an insertion groove 122a is provided at one lower side of the rotary link 122, and a part of the support jacket 2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2a and coupled thereto.
즉 상기 회전링크(122)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브라켓(114)의 상면을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하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122a)에 의해 상기 지지자켓(212)과 결합된다.That is, one end of the rotary link 122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14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jacket 212 by the insertion groove 122a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while being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
그리고 상기 삽입홈(122a) 내부에 완충부재(214)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재(214)에 의해 지지자켓(212)이 탄성을 가지며 지지된다..A buffer member 214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122a, and the support jacket 21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uffer member 214.
이에 따라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탄성가압을 받으며 바닥과 안정적으로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완충부재(214)에 의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베드부(13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receives elastic pressure and stably contacts the floor, and at the same time, the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by the shock absorbing member 214 is transmitted to the bed 130.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214) 및 삽입홈(122a)의 구성을 통해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탄성지지 하였지만 유압댐퍼, 공압댐퍼, 스프링 등을 적용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탄성지지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으로부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buffer member 214 and the insertion groove 122a, the driving auxiliary wheel 210 is applied by applying a hydraulic damper, a pneumatic damper, a spring, or the like. It can be applied to the elastic suppor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floor to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210 is buffere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이어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ures 13 to 16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d part is lifted and lifted in the mobile lifting apparatus of FIG.
그리고 도 15는 도 14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은 도 13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완충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ed portion descends in the mobile lifting apparatus of FIG. 14, and FIG. 16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hock absorbing unit in the mobile lifting apparatus of FIG. 13.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리프팅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리프팅유닛(100), 주행보조유닛(200) 및 제1제어유닛(300)과 함께 추가적으로 완충유닛(500) 및 제2제어유닛(400)을 더 포함한다.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ncludes the shock absorbing unit 500 and the lifting unit 100 together with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and the first control unit 300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ntrol unit (400).
여기서, 상기 리프팅유닛(100), 주행보조유닛(200) 및 제1제어유닛(300)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lifting unit 100, the driving assistance unit 200 and the first control unit 3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완충유닛(500)은 상기 베드부(1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구성으로써 일측이 상기 승하강프레임(1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드부(130)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킨다.The buffer unit 500 is configured to buffer the shock applied to the bed 130,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frame 1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ed 130, the bed by an external forc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unit 130 is attenuat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충유닛(500)은 내부에 자기유변유체(MR)를 포함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쇠계수가 조절된다.Specifically, the buffer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damp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therein.
이때, 상기 자기유변유체(MR)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주위에 극성을 가지는 마이크로 단위의 유체입자가 자기장에 의해 입자배열이 직립됨으로써 직립방향의 점성이 증대되는 것이며, 이는 자기장의 작용으로 입자들 간의 항복응력이 변화됨으로써 생겨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is a fluid unit of a micro unit having a polarity around the electromagnet generating a magnetic field, the particle arrangement is upright by the magnetic field to increase the viscosity in the upright direction, which is due to the action of the magnetic field The result is a change in the yield stress of the liver.
이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MR)는 외부에서 자기장을 인가하면, 유체 중에 분산된 입자가 자화(magnetization) 현상을 일으켜 자기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섬유상 구조의 고리 모양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유체를 의미한다.Accordingly,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refers to a fluid in which particles dispersed in the fluid cause magnetization when the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thereby forming annular clusters of fibrous structur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gnetic field. .
즉, 상기 완충유닛(50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하며, 이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이 변화하여 상기 완충유닛(500)의 감쇠계수가 변화한다.That is,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buffer unit 500 is changed, and accordingly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is changed to change the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buffer unit 500. do.
여기서, 상기 완충유닛(500)은 일반적인 유체를 이용한 뎀퍼 형태와 유사하나 내부에 상기 유체대신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충진되며 내부에 자기장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 더 포함된다. Here, the buffer unit 500 is similar to a damper using a general fluid, but the magnetic fluid instead of the fluid is filled with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can selectively form a magnetic field therein.
이와 같이 상기 완충유닛(500) 내부에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포함되며,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 변화에 따라 감쇠계수가 조절된다. 이때, 감쇠계수란 물체의 단위속도당 운동을 방해하려는 힘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베드부(130)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정도를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is included in the buffer unit 500, and the damping coefficie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viscosity change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In this case, the damping coefficient is a force that tries to prevent the motion per unit speed of the object, and means a degree of damping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ed 130 by an impact from the outside.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유닛(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실린더(510), 피스톤부(520) 및 자기장발생부(530)를 포함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includes a cylinder 510, a piston 520 and a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상기 실린더(5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520)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The cylinder 5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o fill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A portion of the piston 52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figured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510.
상기 피스톤부(520)는 피스톤부재(522) 및 샤프트(524)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부재(522)은 상기 실린더(510)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부재(522)은 상기 실린더(510) 내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구획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510)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 piston part 520 includes a piston member 522 and a shaft 524, and the piston member 522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ylinder 510. Here, the piston member 52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ylinder 510 and is arranged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ylinder 510.
이때, 상기 피스톤부재(522)과 상기 실린더(510) 내부 벽면 사이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부재(522)의 이동 시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유동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piston member 522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ylinder 510 is disposed spaced apart and is configured to flow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when the piston member 522 moves.
그리고, 상기 샤프트(524)는 길게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실린더(510)의 일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부재(522)과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부재(522)과 함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haft 524 is formed to be long, a portion of which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ylinder 510 is coupled to the piston member 522, so as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piston member 522 It is composed.
즉, 상기 피스톤부(520)는 상기 실린더(510) 내부에서 이동하는 피스톤부재(522)과 상기 샤프트(524)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510)와 슬라이딩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기서, 상기 실린더(510) 내부에는 별도의 탄성부재(512)가 구비되어 피스톤부재(522)의 위치를 복원시켜줌과 동시에 완충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512)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부재(522)과 접촉하며, 상기 피스톤부재(522)을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524)의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piston part 5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ston member 522 and the shaft 524 moving in the cylinder 510, and is configured to slide with the cylinder 510. Here, a separate elastic member 512 is provided inside the cylinder 510 to restore the position of the piston member 522 and may also be configured to perform a shock absorbing action. The elastic member 512 may be in contact with the piston member 522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may be disposed in an opposite direction of the shaft 524 based on the piston member 522.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520)가 상기 실린더(510)와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510)의 타측은 상기 결합가이드(126) 또는 상기 베드부(130)중 어느 한 곳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524)의 타측은 상기 실린더(510)가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한 곳에 결합된다.In this way, the piston unit 520 is provided in a state coupled to the cylinder 510,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51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upling guide 126 or the bed unit 130, The other side of the shaft 524 is coupled to the other place where the cylinder 510 is not coupled.
한편, 상기 자기장발생부(530)는 상기 피스톤부재(522) 내부에서 복수 개의 코일을 구비하여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has a plurality of coils in the piston member 522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by the power applied.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장발생부(530)는 상기 피스톤부재(522)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부재(522)의 둘레 형상을 따라 복수 개의 코일이 감겨있으며, 상기 코일에 전력이 공금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522) 내부에서 자기장을 형성한다.In detail,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has a plurality of coils wou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ston member 522 in the piston member 522, and as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coil, the piston member 522. It forms a magnetic field inside.
이와 같이 상기 자기장발생부(530)가 상기 피스톤부재(522) 내부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충진된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이 변화한다. 이때,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은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그 정도가 조절된다.As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generates the magnetic field in the piston member 522,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changes. At this time,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예를 들어,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은 점점 증가하게 되며, 자기장의 세기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이 약해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is increased,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is gradually increased. Whe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is decreased,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is increased. Viscosity is weakened.
이와 같이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서 발생되는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이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500)의 감쇠계수는 감소하게 된다.As such,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genera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thereby decreasing the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buffer unit 50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유닛(500)은 상기 자기유변유체(MR)를 내부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점성이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전기유변유체를 구비하여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점성이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ffer unit 5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hange the viscosity by having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inside, but unlike the viscosity of the electric field provided with an electric rheological fluid It may be configured to.
이와 같이 상기 완충유닛(500)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전류를 가해줌으로써 상기 완충유닛(500)의 감쇠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As the shock absorbing unit 500 is provided,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ed 130 may be attenuated, and the damping of the shock absorbing unit 500 is selectively applied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part 530. The coefficient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피스톤부재(522)과 상기 실린더(510)의 내벽 사이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유동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상기 실린더(510) 내부에서 유동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522)이 슬라이딩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ston member 522 and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510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so that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flows. As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flows in the cylinder 510, the piston member 522 may be slidable, thereby damping vibration generated in the bed 130.
상기 제2제어유닛(400)은,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완충유닛(50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400 detects the vibration of the bed unit 130 and adjusts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buffer unit 500 in response to the sensed strength of the vibra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제어유닛(400)은 상기 베드부(130)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130)의 승하강 또는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control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ed portion 130 to detect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ed portion 130 or the driving of the lifting unit 100 do.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sensed intensity of the vibra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제어유닛(400)은 크게 제2감지부(410) 및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감지부(410)는 상기 베드부(130)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 세기에 대응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킨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control unit 400 largely includes a second sensing unit 410 and a second control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410 is provided on the bed unit 130 to provide the bed.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unit 130 is sensed, and an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ensed vibration intensity.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감지부(410)는 상기 베드부(130)상에서 진동 발생시 가장 큰 움직임이 나타나는 위치에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드부(130) 상에서 상기 결합가이드(126)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sensing unit 410 is provi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greatest movement occurs when vibration is generated on the bed unit 130, and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guide 126 and the coupling guide 126 on the bed unit 130. It is arranged in the opposite position.
그리고 상기 베드부(130)에 진동이 발생 시 발생된 진동의 세기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And it detects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vibration occurs in the bed 130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감지부(410)는 가속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부(130)의 전방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 발생 시 감지되는 상기 베드부(130) 끝단부의 움직임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감지된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에 대한 가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된 진동세기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ensing unit 410 may be configured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ed unit 130 to detect the bed unit 130 when vibration of the bed unit 130 occurs. ) It detects the acceleration of the end movement.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by measuring the vibration intensity generated by the bed 130 using the acceleration of the vibration of the bed 130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이때,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된 진동세기에 대응하여 그 세기가 변화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is changed in intensity in response to the vibration intensity generated by the bed 130.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완충유닛(50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완충유닛(50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킨다.The second controller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and adjusts a current applied to the buffer unit 500. Specifically, the second control unit change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buffer unit 500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감지된 진동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킨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increases, the second control unit reduce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즉, 상기 제2감지부(410)는 상기 베드부(130)에 발생된 진동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제2제어부로 전달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10)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킨다.That is, the second sensing unit 410 increase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as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ed unit 130 increases, and the second control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A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410 increase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is reduced.
이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감소하며 상기 자기유변유체(MR)의 점성이 약해져 상기 완충유닛(500)의 감쇠계수가 조절된다.Accordingly,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is reduced, and the viscosity of the magnetic rheological fluid MR is weakened, so that the damping coefficient of the buffer unit 500 is adjusted.
여기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베드부(130)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자기장발생부(530)로 일정 세기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도록 하며, 상기 베드부(130)에서 진동의 발생 시 상기 자기장발생부(530)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Here, the second control unit allows a current of a constant intensity to b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in a state where the vibration is not generated in the bed unit 130, the generation of vibration in the bed unit 130 I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at the time.
이때,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감지된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530)로 인가되는 전류 세기의 감소정도가 조절된다.In this case,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current intensity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bed 130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즉,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세기가 클수록 상기 자기장발생부(530)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크게 감소시키고,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세기가 작을수록 상기 자기장발생부(530)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작게 감소시킨다.That is, as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bed unit 130 increases, the second control unit decrease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and the magnetic field decreases as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bed unit 130 decrease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generator 530 is reduced to a small level.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제어유닛(400)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완충유닛(500)의 감쇠계수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As the second control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ed is stably adjusted to control the damping coefficient of the shock absorbing unit 500 in response to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ed 130. The vibration of the unit 130 may be attenuat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도 17 및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리프팅장치에서 하중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 진동이 발생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Next, the bed part 130 according to the load in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Looking at the vibration occurs in the) as follows.
도 17은 도 13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에 이송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부에 이송대상물이 놓여진 상태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7 is a view illustrating vib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transport object in the bed in the movable lifting device of FIG. 13, and FIG. 18 is vib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port object is placed in the bed in the mobile lifting device of FIG. 17. It is a figure which showed.
먼저, 도 17을 살펴보면 상기 베드부(130)상에 별도의 이송대상물(S)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베드부(130)상에 진동이 발생한 상태이다.First, referring to FIG. 17, a separate transfer object S is not provided on the bed 130, and vibration is generated on the bed 130 by an external force.
여기서, 상기 베드부(130)상에 상기 이송대상물(S)이 구비되지 않아 자체 발생된 진동의 세기가 크지 않은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2감지부(410)는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Here, the transfer object (S) is not provided on the bed 130, the strength of the generated vibration itself is not large, and thus the second sensing unit 410 is the vibration of the bed 130 Senses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이때, 상기 제2감지부(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130)의 전방 끝단부에 구비되어 진동에 의해 발생된 움직임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를 기반으로 진동의 세기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In this case, the second detecting unit 41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ed 130 as described above to measure the acceleration of the movement generated by the vibration, and based on the measured acceleration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Detect and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그리고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한다. The second controller adjusts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in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금만 감소시키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vibration of the bed 130 is not large as shown, the second controller slightly reduce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이에 반하여, 도 18을 살펴보면, 상기 베드부(130)상에 별도의 상기 이송대상물(S)이 안착된 상태로써, 상기 베드부(130)가 외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술한 이송대상물(S)이 없는 상기 베드부(130)보다 진동의 세기가 커지게 된다.On the contrary, referring to FIG. 18, when the separate transfer object S is seated on the bed 130, when the bed 130 vibrates due to external force, the transfer object ( The strength of vibra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bed 130 without S).
이와 같이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 세기가 커지는 경우 상기 완충유닛(500)은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더욱 많이 감쇠시켜야 하므로 상기 실린더(510) 내부의 상기 자기유변유체(MR) 점성을 약하게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켜 자기장의 세기를 약화시킴으로써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As such, when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bed 130 is increased, the shock absorbing unit 500 must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bed 130 more. Therefore,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viscosity inside the cylinder 510 is increased. Should be weakened. Accordingly, the second control unit can absorb the vibration of the bed unit 130 by reducing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to reduc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즉,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에 따라 상기 베드부(130)에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감소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을 상기 완충유닛(500)이 감소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ed 13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oad, and accordingly,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is adjusted. The vibration of the bed 130 is reduced by the buffer unit 500.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상기 제2제어부에서 상기 완충유닛(500)의 감쇠계수를 조절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 19, the buffer unit 500 of the second control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change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of th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of adjusting the attenuation coefficient is as follows.
도 19는 도 13의 리프팅장치에서 제2감지부에 작용하는 진동의 세기에 의해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감쇠계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ttenuation coefficie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acting on the second sensing unit in the lifting device of FIG.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영역 내에서는 상기 완충유닛(500)에 동일한 세기의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완충유닛(500)은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른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전류를 인가받아 감쇠계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control unit divide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o provide a current having the same intensity to the buffer unit 500 in each region, and the buffer unit 50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ttenuation coefficient by receiving a current having different intensity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변화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연속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단계별로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영역으로 구획된 단계 내에서는 균일한 세기의 전류가 상기 자기장발생부(530)로 인가된다.Specifically, the second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hange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this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is increased step by step without continuously changing. Here, a current having a uniform intensity is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in the step divided into the respective regions.
도시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상기 제2제어부에 전달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 세기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써, X축은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된 진동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고, Y축은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및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Looking at the graph shown, the change in the current intensity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the X-axis vibration generated in the bed portion 130 The Y axis represent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current generated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410 and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도시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I는 상기 베드부(130)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 변화를 연속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베드부(130)에서 발생된 진동의 세기에 따라 그 세기가 증가한다.Looking at the graph shown I is a continuous representation of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in the second sensing unit 410 by the vibration of the bed 130,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ed 130 The intensity increases with the intensity of the.
그리고 P는 상기 제2제어부로 전달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P represents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roller.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I의 그래프는 연속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P의 그래프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영역 내에서는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However, as shown, the graph of I is shown in a continuous form, but the graph of P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so that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is the same in each region. I can see that there is.
즉,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영역 내에서는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균일한 세기의 전류가 인가되며,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른 영역별로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second controller divide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into a plurality of regions so that a current having a uniform intensity is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in each region.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이에 따라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그 세기에 따라서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이에 대응하는 영역 각각에서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설정된 세기의 전류를 인가한다. Accordingly, the second control unit divides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ccording to its intensity, and the current having the intensity set in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530 in each corresponding region. Apply.
그래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10)에서 발생시키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가 속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세기의 전류를 상기 자기장발생부(530)에 인가 시킨다.Thus, the second controller sense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410 and applies a current of the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region to which the sensed electrical signal belongs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530. Let's do it.
이어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장치에서 상기 완충유닛(500)의 변형된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modified configu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unit 500 in th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and 21 as follows.
도 20은 도 13의 리프팅장치에서 완충유닛의 변형된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의 완충유닛에서 피스톤부재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configu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unit in the lifting device of Figure 13, Figure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ston member moves in the shock absorbing unit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유닛(5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나 상기 피스톤부재(522)의 구성이 변형된 상태이다.As shown,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unit 500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iston member 522 is modified.
상기 피스톤부재(522)은 상기 실린더(510) 내부의 수용공간 내벽과 직접 접촉하며 별도의 실링(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피스톤부재(522)의 슬라이딩 시 상기 실린더(510) 내벽과 상기 피스톤부재(522) 사이로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유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piston member 522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cylinder 510 and has a separate seal (not shown) so that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510 and the piston member when the piston member 522 is slid.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does not flow between the (522).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재(522)은 상기 실린더(510)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부재(522) 내에 구획된 상기 실린더(510) 내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오리피스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iston member 522 is configured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cylinder 510, and an orifice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cylinder 510 partitioned in the piston member 522.
즉, 상기 피스톤부재(522)의 슬라이딩 시 상기 자기유변유체(MR)가 상기 피스톤부재(522)과 상기 실린더(510) 사이로 유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 유동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 does not flow between the piston member 522 and the cylinder 510 when the piston member 522 slides, but flows through the orifice.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재(522)이 오리피스를 더 구비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오리피스 구경을 조절하여 상기 완충유닛(500)의 완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such, the piston member 522 may further include an orifice to selectively adjust the orifice diameter to adjust the buffering degree of the shock absorbing unit 5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리프팅유닛 110: 베이스100: lifting unit 110: base
120: 승하강프레임 130: 베드부120: lifting frame 130: bed part
200: 주행보조유닛 210: 주행보조바퀴200: driving auxiliary unit 210: driving auxiliary wheel
214, 244: 완충부재 220: 구동모터214, 244: shock absorbing member 220: drive motor
230: 슬라이딩가이드 240: 이동부재230: sliding guide 240: moving member
300: 제1제어유닛 310: 제1감지부300: first control unit 310: first detection unit
400: 제2제어유닛 410: 제2감지부400: second control unit 410: second detecting unit
500: 완충유닛 510: 실린더500: shock absorber unit 510: cylinder
520: 피스톤부 530: 자기장발생부520: piston portion 530: magnetic field generating portion
MR: 자기유변유체MR: magnetorheological fluid

Claims (18)

  1.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피사용자 또는 이송대상물이 안착되는 베드부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부가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팅유닛; 및A base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the bed portion to which the user or the transfer object is seated and formed ext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base and supporting the bed portion above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and selectiv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d portion A lifting unit including a lifting frame; And
    상기 베이스상에서 바닥과 접촉하여 구동하는 주행보조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유닛의 무게중심상에 위치하여 리프팅유닛의 주행을 보조하는 주행보조유닛;A driving assistance unit including a driving assistance wheel driving in contact with a floor on the base and positioned on a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to assist driving of the lifting unit;
    을 포함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Removable lifting device comprising a.
  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하강프레임은,The lifting frame is,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와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링크; 및A rotary link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coupled to one side to be eccentrically rotated with the base; And
    상기 회전링크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드부가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수직링크;A vertical link extending upward on the rotary link to support the b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프레임이 회전하여 상기 베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And optionally the lifting frame rotate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bed portion.
  3.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베이스는 상기 주행보조유닛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The base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unit penetrates up and down,
    관통된 상기 주행보조유닛의 상부를 감싸며 간섭을 방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It further includes a bracket surrou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unit penetrated to prevent interference,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브라켓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회전하도록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And the rotary link is partially bent to rotate without causing interference with the bracket.
  4.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의 위치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s provided with a guide formed along the position of the same radius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link,
    상기 회전링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리프팅장치.Lifting devi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link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and sliding along the guide portion without being separated.
  5.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상에 구비되며, 상기 리프팅유닛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에서 전달된 전기적신호 의해 상기 리프팅유닛의 무게중심을 측정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를 상기 무게중심상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The driving assistance is provided on the base and measur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by a first sensing unit which senses a load applied to the lifting unit and transmits it as an electrical signal and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nsing unit. And a first control unit including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wheel to be positioned on the center of gravity.
  6.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감지부는,The first detection unit,
    복수 개의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A mobile lifting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are spaced apart on the base.
  7.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주행보조유닛은,The driving assistance unit,
    상기 베이스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 및A sliding guide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base; And
    상기 주행보조바퀴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동부재;A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driving auxiliary wheel and selectively sliding along the sliding guide to adjust a posi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Removable lif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8.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The driving assistance unit,
    상기 제1감지부에서 감지된 리프팅유닛의 전체 하중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회전력이 조절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And a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is selectively adjusted in response to the total load of the lifting unit detected by the first sensing unit.
  9.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행보조유닛은,The driving assistance unit,
    상기 베이스가 상기 주행보조바퀴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And the base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driving assistance wheel.
  1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행보조유닛은,The driving assistance unit,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별도의 회전스톱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And a separate rotary stopper for selective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auxiliary wheel.
  1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하강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하방향에 따른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The lifting frame has a rotatio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as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승하강프레임과 연동되어 상기 승하강프레임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주행보조바퀴가 함께 회전하여 주행방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The driving assistance unit is a mobile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ing frame and the driving auxiliary wheel is rotated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state of the elevating frame.
  12.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주행보조유닛은,The driving assistance unit,
    상기 베이스 하부에서 상기 승하강프레임의 회전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과 직접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A mobile lifting device position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lifting fram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simultaneously.
  13.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일측이 상기 승하강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드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며, 내부에 자기유변유체를 포함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쇠계수가 조절되는 완충유닛; 및One side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fram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ed part to attenuat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ed part, and selectively adjust the damp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therein A buffer unit; And
    상기 베드부의 진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2제어유닛;A second control unit which senses the vibration of the bed and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buffer unit in response to the sensed intensity of the vibration;
    을 더 포함하는 포함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Removable lifting device comprising a more.
  14.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2제어유닛은,The second control unit,
    상기 베드부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의 진동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 세기에 대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부; 및A second sensing unit provided on the bed unit to sense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bed unit and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in response to the sensed vibration intensity; And
    상기 제2감지부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제2제어부;A second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a current applied to the buffer uni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detector;
    를 포함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Removable lifting device comprising a.
  15.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2감지부는,The second detection unit,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베드부의 전방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드부에서 감지되는 가속도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A mobile lifting device, comprising an acceleration sensor,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ed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bed.
  16.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2제어부는,The second control unit,
    상기 제2감지부에서 감지된 진동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And a current applied to the shock absorbing unit decreases as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increases.
  17.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2제어부는,The second control unit,
    상기 제2감지부에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영역 내에서는 상기 완충유닛에 동일한 세기의 전류를 제공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른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전류를 인가받아 감쇠계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in the second sensing un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o provide a current having the same intensity to the buffer unit in each region, and the buffer unit is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The lifting devic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ttenuation coefficient by receiving a current of different intensity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18.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완충유닛은,The buffer unit,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자기유변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A cylind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illed with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therein;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 및 길게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실린더 일측에서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함께 유동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피스톤부; 및A piston which moves in the cylin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and includes a shaft which is partially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ylinder and connected to the piston and flows together; And
    상기 피스톤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을 구비하여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를 포함하며;A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oils inside the piston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by an applied electric power;
    상기 제2제어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And a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change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suppli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PCT/KR2014/008793 2013-12-04 2014-09-22 Movable lifting device WO2015083924A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66256.0A CN105828778B (en) 2013-12-04 2014-09-22 Mobile eleva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841 2013-12-04
KR20130149841A KR101509083B1 (en) 2013-12-04 2013-12-04 Moving Type Lifting Apparatus Including Driving Assistance Wheel at Center of Gravity
KR10-2013-0149847 2013-12-04
KR20130149965A KR101494652B1 (en) 2013-12-04 2013-12-04 Moving Type Lifting Apparatus with Damper for Preventing the Rollover
KR10-2013-0149965 2013-12-04
KR20130149847A KR101507963B1 (en) 2013-12-04 2013-12-04 Lifting Apparatus Including Rotatable Driving Assistance Wheel with Frame for Same Ti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3924A1 true WO2015083924A1 (en) 2015-06-11

Family

ID=5327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8793 WO2015083924A1 (en) 2013-12-04 2014-09-22 Movable lift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CN (1) CN105828778B (en)
WO (1) WO201508392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5802A (en) * 2017-05-21 2018-03-13 广州市科卡通信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odified outdoor signal amplitude device
CN107795803A (en) * 2017-05-21 2018-03-13 广州市科卡通信科技有限公司 A kind of Novel outdoor signal amplitude device
CN108635180A (en) * 2018-05-11 2018-10-12 中山爱君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rehabilitation nursing intelligent robot
CN112006867B (en) * 2020-08-28 2021-06-25 黑龙江省医院 Device capable of helping patient to shif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850B1 (en) * 2000-01-21 2004-08-10 Stryker Corporation Power assisted wheeled carriage
KR200427906Y1 (en) * 2006-07-18 2006-10-02 박우철 A vibration reducing device for elevator car using wire ropes
JP2011042248A (en) * 2009-08-21 2011-03-03 Inoue Seisakusho:Kk Platform cart with driving device
KR20110092812A (en) * 2010-02-10 2011-08-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ovable lift device having rotatable be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00563Y (en) * 2008-05-07 2009-03-04 上海理工大学 Drop-prevention nursing bed
CN201418825Y (en) * 2009-05-26 2010-03-10 四川理工学院 Multifunctional medicinal vehicle with self-regulation type center of gravity
CN202833831U (en) * 2012-10-22 2013-03-27 成都市翻鑫家科技有限公司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850B1 (en) * 2000-01-21 2004-08-10 Stryker Corporation Power assisted wheeled carriage
KR200427906Y1 (en) * 2006-07-18 2006-10-02 박우철 A vibration reducing device for elevator car using wire ropes
JP2011042248A (en) * 2009-08-21 2011-03-03 Inoue Seisakusho:Kk Platform cart with driving device
KR20110092812A (en) * 2010-02-10 2011-08-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ovable lift device having rotatable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28778A (en) 2016-08-03
CN105828778B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83924A1 (en) Movable lifting device
WO2021172745A1 (en)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for upper and lower limbs
CN107107976A (en) Head, Remote Control Vehicle and remote control delivery system
WO2017082571A1 (en) 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display using chain
WO2017150933A1 (en) Variable gravitational torque compens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177260A1 (en) Muscular strength assistance device for controlling attitude thereof according to operating mode
WO2010032971A4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with a unique low vibration frequency.
WO2015199334A1 (en) Traveling aid apparatus having separate mounting frame
WO2015156523A1 (en) Vacuum cleaner and gravity compensation apparatus therefor
CN107241912A (en) Vertical Zeng Wen mechanisms and cradle head device and capture apparatus
WO2020226198A1 (en) Cart and cart handle-assembly having power assist function
WO2017082602A1 (en) Display position adjustment device using sector gear
WO2022119255A1 (en) Vehicle for uneven terrain
WO2022065597A1 (en) Hermetic-type automatic packaging container-sealing machine
WO2013002498A2 (en) Sliding-type apparatus for thermotherapeutic treatment
WO2015122704A1 (en) Triangular wheel driving device
WO2012005404A1 (en) Automatic cleaner
WO2016148479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WO2020209396A1 (en) Cart robot handle assembly having power assist function, and cart robot having same
WO2022260428A1 (en) Massage device comprising rotatable arm massage part
WO2016076625A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on salt farm
WO2014175707A1 (en) Variable seating unit, auxiliary walking unit, and wheelchair comprising same
WO2017082600A1 (en) Display position adjustment device having movable speaker
WO2012074297A2 (en) Senior-friendly shower carrier
WO2018021763A1 (en) Multidirectional suspension device for walking exerc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85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85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